[드릴직구] Makita 제품 분류

취미용장비/기타無狼
2017. 12. 2. 01:13

기본적으로 한가지를 짚고 넘어가자. 


업으로 하는 현장작업에서 제일 중요한 건 시간이고 그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것은 장비이고 그 장비에게 필요한 것은 작업중에 파손, 결손되어 시간을 날려먹지 않을 신뢰도다. 

그렇기때문에 업자들은 이런 해외직구에 목메지 않을 것이라 판단하고 일상용으로 공구를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이야기한다.


어느 상표가 튼튼하다.   어디 상표가 명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디 상표가 짱이다. 


다 개소리다.  실제로 공사하는 사람들은 그런 것 신경 안쓴다.  왜냐고 묻는다면 공사업자들 공구를 보면 안다.  특별히 대단하게 튼실하고 오래가는 놈 없다.  싸고 수급쉽고 많이 풀려 있으면 업자들은 그냥 쓴다.  같은 값이면 싼 걸로 말이다.


보쉬, 디월트가 최고라고 외치는 사람도 있는 것 같긴한데 그럼 힐티, 밀워키, 메타보, 마키타는 2류고 아에게, 포터케이블, 료비는 듣보잡인가?  그냥 한국에 많이 풀려서 잘 알려진 것 뿐이다. 

무슨 유행처럼 예전엔 보쉬가 최강이다라고 했다가 요즘엔 디월트 대동단결하다 이젠 전동공구의 원조 밀워키~ 이러고 있으니 황당할 뿐이다. 


쟤네들 세계적 기업들이고 공구판에서 몇십년 이상 사용해온 브랜드들이다.  업장에서 사용하는 것도 아니고 개인이 취미용으로 또는 일년에 몇번 쓰는 드릴질로 죽지 않는다.

하다못해 블랙앤데커 싸구려 드릴도 버틴다.


고로 괜히 업자흉내를 내면서 좋은 장비브랜드 안따져도 된다.


사설이 길었다.


우선 이미지하나 간다.



마키타 USA 에서 가져온 도표다.  확대해서 보면 되는데, 18V Brushless 제품라인군중 Hammer Drill 베어툴만 가져온 것이다.



여기서 Brushless 는 간단히 말해 DC 모터의 종류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 Makita 의 Brushless 명칭 BL motor ]


기존 모터들은 Brush라는 부분이 있어 오래쓰거나 과부하가 걸리면 브러쉬의 카본이 녹아붙어서 교체를 해주거나 모터 자체를 바꿔야하는 경우가 있었다.  물론 이것도 잘못된 사용법이 아니라면 경험하기 힘들긴하지만 내구성이 존재하기는 한다는 이야기이다. 

Brushless 모터들은 그 브러쉬부분이 존재하지 않기에 그만큼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브러쉬 마찰등으로 인한 손실이 없어 좀더 효율적인 부분이 있다.  자세한 것은 신경쓰지 않아도 되고 현재 가전제품들이나 전동공구들은 DC 모터류로 가고 있고 그 DC 모터에서도 Brushless 모터로 시장이 옮겨가고 있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다시 모델명을 보면 XPH07Z , XPH11Z , XPH12Z 이다.  이 모델이전 숫자카운트들이 있는데 03Z , 10Z 등이다.  기존모델은 BL(Brushless)모델이 아니므로 지금은 고려치 않는다.  우리가 해외직구를 하는 이유는 싸게 좋고 비싼(한국에서) 모델을 사는 것이니까.


크게 차이나는 부분은 우선 Torque(토크=힘)이다.  회전력.  다시말해 모터가 회전을 하는데 부하가 걸리면 모터의 토크로 그 작업능력이 결정난다.  토크가 셀 수록 당연히 좋다. 

디월트 DCD796 의 토크는 70Nm 이다.

디월트 DCD996 의 토크는 95Nm 이다.


하지만 무게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토크가 셀수록 컴팩트모델이 아닐수록 무겁다. 


07z 의 경우 배터리포함 5.9LBS(약 2.68kg)이다.  이는 훈련용 K1 총기와 유사한 무게다.  그걸 한손으로 들고 벽체에 드릴 뚫는다고 생각해보라.  몇 번 하다보면 팔이 아플 것이다.  거기에 햄머드릴은 타격형방식이라 진동도 있다.  그만큼 쉽게 천공작업이 되지만 반대급부로 팔에 그만큼 부하가 걸린다.  그래서 손잡이 까지 주는 것이다.



[ 한때 광풍(?)이 불었던 XPH06z ]


그래서 일반적인 용도라면 XPH12z 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참고로 XPH06z 의 스펙은 XPH12z 와 유사하다.  XPH12z 가 향상후속품인 것으로 보인다.




베어툴을 사서 배터리와 충전기는 한국에서 따로 사도 된다.  배터리는 해외에서도 비싼 편이고 충전기는 사용전압문제가 있다.  그냥 변압기 써도 되긴한데 불편하니 고려해볼만하다.


드릴의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서도 정리를 좀 해둬야할 것 같다. 

반복되는 질문도 많고 이상한 정보도 많기에...


[해외직구] 카드결제금이 이상하다?


카드결제금액이 환율계산한 것과 다르다?

해외구매관련한 카페나 게시판등에서 생각외로 많이 보게 되는 질문은 제품 자체에 대한 질문보다 '금액이 이상하게 많이 출금되었다' 라는 것입니다.


이런 분들은 보통 카드결제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는 분들인데다 검색을 전혀 하지 않는 분들이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인지 관련게시판에서도 질문에 답이 안달리거나 핀잔주는 댓글을 받고 역으로 화를 내시는 분들도 많지요.


카드의 결제방식

기본적으로 카드 결제는 '승인' , '매입' 단계가 있습니다. 그리고 소비자에게는'청구'가 이루어지죠.


정확한 묘사는 아니지만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1. 승인은 결제시에 판매자가 카드사에 확인을 요청하는 단계입니다. 카드사에게 판매자가 '이러저러한 결제가 이루어졌다'라는 것을 카드사에 보내는 것이죠.
  2. 매입은 위의 승인건에 대해서 실제 전표(영수증)을 판매자가 카드사에 보내어 '증빙처리'하고 카드사는 이 증빙을 기준으로 판매자에게 금액을 지불하는 겁니다. 물론 당장주는건 아니고 월정산이지요.
  3. 청구는 매입단계까지 완료된 건수에 한해 소비자에게 돈을 받아가는 것 입니다. 만약 승인이 났으나 매입(증빙)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중도에 취소가 되었다면 청구되지 않습니다. 간단히 말해 매달 나오는 카드대금청구서에 찍혀나오지 않는다는 말입니다.


[소비자,카드사,판매자 도식]


그래서 금액차는 왜 생기는거야?

이해를 위해서 간단한 기반지식(?)을 사족처럼 적었습니다만 위 사항을 이해하고 나면 간단하게 이해가 됩니다.


결론부터 적자면 결제시점의 환율로 계산되는 것이 아니라 매입되는 시점의 환율로 계산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계산이 안맞아 떨어지는 것 입니다.


금액차가 생기는 것은 근본적인 이유는 환율이고 환율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위 단계중 승인, 매입단계가 날짜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라면 1~2일 사이에 처리가 되거나 즉시지불처리가 되지만 지금 우리는 '해외구매'를 하고 있지요.


해외에서 국내영수증을 보내는데(실제 전표를 우편같은 것으로 보내지는 않지만) 정상적으로 결제가 이루어진 상황이라면 짧게는 2~3일 길게는 4~5일 정도가 걸립니다.


그런데 이 '정상적인 결제'라는 것이 우리나라와 다르게 결제시점이 아니라 배송시점(Delivery 또는 Shipping등)을 기준으로 본다는 것 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주문(Order Place)/결제(Payment)를 하였지만 판매자 입장에서는 주문이 들어와서(Order) 처리(Processing:보통 물건 확인이나 주문처리를 말함)가 완료되어 배송처리가 되어야 정상적인 결제가 된 것으로 본다는 것이죠.


[소비자,판매자 결제와 배송 예시-amazon.com]


payment.amazon.com 에서 ordering cycle 에 참조용으로 올려둔 이미지입니다.  Amazon 은 단일 기업이 아니라 우리나라의 오픈마켓과 같은 업체죠.  물론 Amazon 이 판매하는 물품이 많기도 합니다만...
아무튼, 1번에서 주문(order place)을 하면 2번~5번까지 물류처리, 출고, 배송준비까지 처리(processing)를 거쳐 6번 승인의 결제처리, 배송시작(delivery, Shipping)이 이뤄지는 것이지요.


결국 승인은 주문/결제에서 처리되지만 매입은 배송처리가 된 뒤에야 그때부터 근무일기준(Business day)3~4일 정도에 되는 것 입니다.


참 쉽죠?! ㅋㅋㅋ


그것까지 감안해도 계산이 다른데?

보통 환율이라 함은 '매매기준율'을 이야기하는 겁니다. 우리가 실제 외화를 사고 팔때 쓰는 환율이 아니지요. 특히나 카드결제의 경우는 '전신환(송금)'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현찰매도/매입율과도 다릅니다.


[다음환율표]


결국 해외 카드결제시에 실제 금액은 '매입되는 시점'의 '전신환매도율'을 기준으로 해야 되는 것이지요.


물론 여기에서 한단계가 더 추가되어야 합니다. ㅎㅎㅎ


또?

이제 마지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승인, 매입, 전신환 환율까지 듣고 이번에 이야기할 카드사의 '해외이용수수료'만 이해하시면 끝입니다.


해외 결제를 하기 위해서는 결제시스템이 해외와 연계가 되어야겠죠.  바로 VISA, MASTER, AMEX, JCB, 銀聯 등이 바로 그 해외지불연계를 해주는 업체들입니다.  우리나라은행 및 카드사들도 위 업체들을 통해서 해외결제를 진행합니다.
아무튼 이 해외카드업체들이 지불수수료를 받아가는데 VISA , MASTER 는 1% , AMEX 는 1.4% 를 받아갑니다. 


거기에다 국내카드사가 받아가는 해외사용수수료도 있습니다. 이것은 카드사별로 상이 하기 때문에 사용하시는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찾아보시는 것이 정확합니다.

원래는 '환가료'라는 이름의 다른 수수료가 귀찮게 있었으나 이제는 간단하게 수수료율만 가지고 계산하면 되니 좋긴한데 이 수수료율이 카드사마다 다르니 본인이 사용하는 카드별로 체크를 한번씩 해두시는게 좋습니다.


카드사명

해외이용수수료

 참조일시

 우리카드

0.3%

13.09.16

 신한카드

0.18%

11.12.30

 삼성카드

0.2%

13.03.31

[주요카드사별 해외이용수수료]




[실제 금액을 계산하기 위한 수식]


이제 예를 들어보지요.   실제 결제된 승인내역을 보겠습니다.


[승인내역 - 우리은행]


현지승인금액이 34.66USD 이라고 되어있고 이용금액은 36,937원 , 결제금액은 37,351원 입니다.  위에서 설명한대로 승인일자는 22일이지만 매입은 23일 이뤄진걸로 나옵니다. 그러니 결제당시의 환율로 아무리 계산기 두드려봐도 맞을리가 없지요.
물론 환율이 변동이 없는 시점이라면 맞아떨어질수도 있습니다만 요즘 같은 정황상 환율변동이 없을 확률이라는건... 없다고 봐야겠죠.


아무튼 34.66USD 이 37,351원이 되는지 계산을 한번 해보죠.


[23일 우리은행 최초고시환율]


(승인금액+수수료)*전신환매도율=34.661.01*1063.70=37,257.64
결제금액+해외이용수수료=37,257.64*1.003=37,369.41


짜잔! 37,369.41원!


뭐야 왜 또 틀려?!  아닙니다. 근접한거지요. ㅋㅋㅋ
위에서 이야기했던 '적용시점'이 다른 것입니다.  


예를들어 삼성카드의 경우 우리은행의 매입날짜 환율의 ‘최초고시환율’을 기준으로 계산을 합니다.  하지만 우리카드는 최소한 ‘최초고시환율’을 이용하지는 않는 것 뿐입니다.


이제 실제 명세서에 적혀 날아올 예상결제명세서의 내역을 살펴보죠.


[결제예정명세서]


34.66USD 가 원금으로 35.01USD 가 된 것은 위 계산대로 1.01(VISA 수수료 1%)를 계산해서 소수점 2자리까지 취합한 것입니다.
환율은 매입당시의 환율 1063.70 이고 이를 가지고 원화계산을 하면 37,240원(소수점 버림) 거기에 카드사해외이용수수료 0.003(0.3%)를 곱하면 111원(소수점 버림)으로 위 명세서와 같아지는 것이죠.


우리가 처음계산에서 고려하지 못한 부분은 매입시의 정확한 환율과 소수점 자리수를 버리는 부분이었던 것이 오차로 나오는 것입니다. 최소한 말도안되게 원금액*고시환율등으로 계산해서 틀리게 나오는 금액과는 차이가 나는 것이죠.


이것으로 대략적인 설명이 끝났습니다.  


끝으로…

쓰다보니 용두사미처럼 엉망계산을 보여드린 것 같기도 한데 그래도 대충 어찌굴러가는지 설명은 되었다고 봅니다.  중요 부분은 ‘매입’ , ‘매입환율’ , ‘카드이용수수료’로 축약되겠네요.


그럼 즐겁고 유익한 해외구매를 필요한 부분에만 하시길 빕니다. 남들 지른다고 같이 지르고 좋다고하니 그냥 지르고 하면 패가망신하기 딱 좋습니다.


스탠리 드릴배터리와 블랙앤데커 드릴배터리 혼용

취미용장비/기타無狼
2016. 2. 18. 23:36

기존에 직구로 산 'Black&Decker BDCDMT120 Matrix 20Volt'(링크)은 참으로 요긴하게 잘 쓰고 있습니다.  다른 head attachment 와 붙여서 호작질을 많이했죠. 


[ 직구로 구매한 매트릭스 드릴.  완소툴 ]


문제는 배터리였습니다.  장시간 작업을 할라치면 반드시 중간에 충전이 필요한 사이즈 2.0Ah.  답답할 때가 종종 있었습니다.  특히 토크가 많이 필요한 직소절단, 임팩드릴링, 샌더작업을 하게되면 연속작업하기가 애매합니다.  그나마도 급속충전기가 있었기에 다행이었지 없었다면 생각하기도 싫으네요. 

그래서 다시 베어툴+배터리 직구를 할 것인가 대용량배터리를 구매할 것인가 고민을 하고 있었죠.


하지만 베어툴+배터리를 새로 구매한다는 것은 핫딜이 아닌이상 마음에 드는 가격대가 아니죠.  그리고 1.5Ah/2.0Ah 배터리를 여러개 가지고 다니기도 귀찮고요.  물론 가정에서만 놔두고 쓴다면 2~3개의 배터리만 있다면 충분하긴 합니다.  번갈아가면서 충전시켜서 사용하면 되니까요.


다음은 대용량 배터리.  3.0Ah/4.0Ah 가 있는데 블데는...  국내에 기본사양(1.5Ah)를 제외하고 들여오지 않는다고 합니다.(블데 코리아, 동부대우 서비스센터 문의 결과) 망할... 


그러면 차선책으로 배터리만 수입을 해야하는데 이게 가격대가 다음과 같습니다.


[ amazon.com 배터리 가격 신품/16-02-18 기준 ]


[ ebay.com 배터리 가격 신품/16-02-18 기준 ]


아마존의 경우 프로모션으로 $50 이상일 시 $10 할인 행사가 있긴 합니다만 배대지비용을 통해서 국내로 들여오는 가격과 환율을 고려해보면 7만원 이상이 나올 것 같습니다.  차라리 저 가격이라면 베어툴+배터리팩되어 있는 제품을 사는게 나을 것 같더라구요.

그렇다고 대륙발 배터리를 들여오기에는 신뢰감이 없어서 손대지 못하겠구요.




약간 좌절하던 도중.  예전에 스탠리, 블랙앤데커, 크래프트맨의 드릴들이 디자인이 같고 충전기형태도 같으며 배터리도 외관만 다르지 크게 차이나지 않다 라는 글을 본 기억이 떠오르더군요.  더군다나 스탠리 1.5Ah 배터리의 경우 특정 부분을 깎아내면 블데에 사용이 가능하다라는 글까지 나오고 말이죠.



[ slickdeals.net 에 올라온 배터리 혼용이미지 - 링크 ]


무서운 양키횽들은 이미 시도를 해봤던 것 입니다.  거기에 포터케이블까지도 되는군요.  당최 이놈들 어디서 만들어서 납품받길래 다 이런 것일까요. ㅋㅋㅋㅋ

다만 1.5Ah 는 저렇게 위로 튀어나온 부분이 있는데 4.0Ah 이미지에는 저 부분 자체가 없습니다.



[ 국내판매중인 스탠리 18V 4.0Ah STBL184L 배터리 이미지 ]


윗면이 깔끔하죠?  하지만 저 깔끔함 덕분에 저는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다른 부분은 잘 잘라내기만 하면 이거 될거다!  -_-)  무식하면 용감한 겁니다. 



오픈마켓 5만/1만 쿠폰행사도 있겠다.  그냥 질러버렸습니다.  5만 초입으로 4.0Ah 배터리를 구매 가능하네요.  가격은 참으로 만족스럽습니다.


[ 사이즈 비교 ]


한 두배쯤 되는 것 같습니다.  색상은 매우 디월트스럽습니다만...  사오자마자 잘라내버린 부분이 보이는군요.  ㅎㅎㅎ



[ 측면 비교 ]


빨간원이 슬롯가이드의 스토퍼(?) 같은 부분인데요.  양 측면의 위치가 서로 다릅니다.  만약 저기가 달랐다면 생각보다 고민을 좀 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 반대편 비교 ]


가이드 위치가 조금 다른게 보이시죠?



[ 상단면 비교 ]


높이는 얼추 맞춰놓고 찍은 사진입니다.  스탠리 배터리가 어둡게 찍혀서 잘 안보이시겠지만 간단히 말해 직사각형으로 나오는 형태(스탠리 파란색 ㄴ 자)와 살짝 안쪽으로 파인부분(스탠리 빨간색 ㄱ 자)부분의 위치가 서로 반대 입니다.  그래서 저것 때문에 끼워지지가 않더군요. 


빨간색 ㄱ 자 처럼 스탠리 배터리 부분을 깎으면 됩니다.  그러면 스탠리배터리는 양쪽 모두 ┐┌ 이렇게 안쪽으로 깎인 모양이 되겠죠.(오른쪽은 원래 파인부분이고 왼쪽은 블데와 맞춰주기 위해 깎아준 부분)



사설이 길었습니다만...  결론은...  잘 됩니다.



[ 블랙앤데커 급속충전기 완충 모습 ]


충전시간이 좀 걸려서 처음에는 안되는건가 했는데 완충불이 들어오긴 하더군요.  나중에 제대로 시간을 재봐야겠습니다.





간단하게 찍어본 영상입니다.  동작, 탈착 다 원활합니다.  아직까진 문제 없네요.


블데 신형, 구형 매트릭스 가지신 분들 중 대용량 배터리를 구매하시고자 하는 분은 국내 오픈마켓에서 지르시면 되것습니다.


단, 혼용으로 인한 문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뭐...  문제 생길 것이 있나 모르겠지만...







우측 + 부분 안쪽으로 깍여있음(원래) ; 블랙앤데커와 반대

좌측 - 부분이 직선이므로 블랙앤데커와 같이 깍아줌(자가수정) ; 블랙앤데커와 같은 걸쇠형태가 됨.


나머지 부분은 손댈 것 없이 Matrix 20v MAX 와 호환됩니다. 

동사의 20v MAX 제품군이라면 다 동일할 것으로 보입니다.



[해외구매] Intel SSD 730 , 480GB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15. 7. 27. 23:40

고민고민하다 5년 워런티를 믿고 지르게된 해구품 입니다.  스펙이야 뭐 요즘엔 비슷비슷하니 따질 것도 없고 솔직히 쓰기속도, 읽기속도에 따른 체감이 다르다는 분들도 계시던데 M500 , MX100 , BX100 을 써봤던 경험에 비춰보면 그다지 느껴지지 않더군요.  게임에 있어서나 그냥 일반작업에 있어서나... 


M500 , MX100 은 마벨칩에 쓰기속도가 500/300 정도고

B100 , 730 은 SMI , 인텔칩에 500/500 정도인데


스팀게임에 있어서나 배틀넷게임에서나 차이는 모르겠어요.  -_-ㅋ;  무뎌서 그런가...



[ Intel SSD 730 박스 ]


2015년 4월23일 제조일자 같으네요.  나름 신상? ㅎㅎㅎ

구매는 7/13일 새알발~



[ 개봉사진 ]


해골마크는 당최 정체성을 모르겠어요.  ㅎㅎㅎ  강렬한 인상이긴 합니다.

내부 무지박스도 그렇고 마이크론에 비하면 제법 큰 박스를 주더군요. 

구성물이 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 기타 악세사리 ]


스티커,  설치CD, 나사 4EA 입니다. 

스티커는 10~12cm 정도 되보이는데 너무 크네요. 



[ Flat sata cable ]


처음엔 뭔가 싶었는데 전화선처럼 생긴 플랫케이블이더군요.  

마이크론제품을 살땐 저런게 하나도 없었던지라 상당히 신기하더군요.



[ INTEL 730 등장 ]


정전기방지(?) 밀봉패키지까지 잘 되어 있습니다.



[ 제품 전면 ]


전면은 밋밋합니다.  하긴 SSD 가 다 그렇죠.  해골마크와 인텔로고만 덩그라니~



[ 제품 뒷면 ]


이것도 제품명, 시리얼넘버 등등이 적혀 있을뿐 특이한 건 없네요. 

디자인 USA , 조립 CHINA 정도? ㅎㅎㅎ



[ 특이점 ]


특별히 필터처리한게 아닙니다.  꼭 도색하다 만 것처럼 골고루 느낌이 나지않고 그런 코팅상태(?)를 보여줍니다.








Z77 + iRST + 기본 sata3 에서 테스트한 결과입니다. 


벤치마크에서 봤던 결과보다 좀더 잘 나온 것 같기도하고...  그러네요.



기존 BX100 도 잘 쓰고 있었는데 해구가격에 5년 RMA 가능이다보니 뽐이 와버려서 질렀지만 만족스럽습니다.


아... 한가지 더 MLC 는 사랑입니다.  모사의 성능하락 및 이슈를 보고 있자면 TLC 는 아직 신뢰하기 어려워요.  거기다 비슷한 가격이라면 고민할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방입] 무한개조 HP OfficeJet Pro 8610 공급기

후지제록스 docuprint 203A 레이저프린터가 용지 로드업이 안되기 시작하더니 낱장으로 하나씩 넣어야 프린터가 되는 상황이 와버렸습니다.  한번씩 프린터하는 것이지만 엄청 불편하더군요.  그래서 고민하다가 해구질로 8610 을 질러버렸습니다. 

 

잉크젯이긴하지만 네트웍 프린터에 스캔, 팩스까지 된다니 저한테 과하기 까지한 스펙이지만 금액은 89불.  거기가 국제무료배송 프로모션이 있다보니 '고환율'임에도 상당히 좋은 가격에 들여올 수 있었지요.

 

그러나 문제는 잉크.  아무래도 잉크젯은 유지비용이 문제인데 무한잉크공급기들의 문제는 내구성이나 신뢰성이죠.  그래서 큰돈들여서 잉크주입기라도 들여야하나 고민하던중에 '세레나77'님께서 재능나눔(?)을 해주신다기에 냅다 신청.  다행스럽게도 2회 도전에 당첨되었네요.


한 일주일은 걸릴거라 생각했는데 엄청 빠르게 처리해주셔서 카트리지 발송후 다시 도착하는데까지 2일 걸렸네요.  엄청 빠른 처리 감사합니다.

http://blog.naver.com/kimhg369/220332753127 미리 올려주신 동영상을 보고 설치까지 완료했습니다.



[ 박스개봉 ]


왠 복분자가 왔지? 하고 있었는데 세레나님이 보내신 것.  ㅎㅎㅎ 

뾱뾱이가 가득 들어 있었네요.



[ 2차 뾱뾱이 포장 ]


으아니...  뾱뾱이 봉지까지 돌돌 말려서 들어있네요.



[ 카트리지 , 잉크통 #1 ]


설치만 하면 된다는 말씀이 이해가 가네요.  그런데 생각보다 잉크가 많이 들어 있는 것 같네요? 

200mL 가 이렇게 많았나?



[ 카트리지, 잉크통 #2 ]


압력조절을 해야한다는 말씀이 이해가 가더군요.  상당히 많은 양이 공급기 입구쪽으로 올라와 있네요.

동영상 설명처럼 눕히니 꼴꼴꼴~ 하고 넘어갑니다. 



[ 카트리지, 잉크통 #3 ]


그냥 의미없이 찍어봤습니다만.  상대적비교는 될 것 같네요.  



[ 카트리지 ]


세레나77 님께서 작두질이라 표현하신 적이 있는데 카트리지를 보니 이해가 가더군요. 

헤드반대부분을 컷팅해내고 잉크홀을 장착하는 형태인가 봅니다.


[ 설치완료 후 ]


받침대가 있어야 한다길래 박스하나 받쳐놓고 설치완료해놨습니다만 뭔가 받침대를 만들어봐야겠습니다.



[ 밀어내기용 프린트 #1 ]


기존에 번들카트리지를 한번 꽂았기 때문에 밀어내기형태로 프린트를 해서 기존 안료를 빼내야 한다고 하시더군요.  그런데... 20여장을 뽑아봤지만 구별이 안가요.  빠진 건지 아닌 건지도 모르겠어요.  ㅜ_ㅜ



[ 밀어내기용 프린트 #2 ]


혹시나해서 몇개 더 찍어봤네요.  ㅜ_ㅜ 

하지만 여전히 다 빠진 것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어요.


해외직구를 시작할때 생각해두면 좋은 것들 몇가지

요새 뉴스에도 나오고 개인목록통관 확대로 각종 장터에서 되팔이까지 득세하는 '해외직접구매'에 대해 간단히 몇가지만 써볼까 합니다.  쓰다가 너무 길어지고 귀찮아지면 몇번 나눠서 쓸 수도 있고 그냥 손놔버릴 수도 있지만 우선은 몇가지만 써볼까 합니다.



첫번째, 해외직구를 하게되는 이유? 목적?


저는 같은 돈을 주고 제대로된 서비스를 못 받거나 같은 기능,성능을 가진 물품을 30% 이상 주고 사게되면 성격상 입에서 불을 뿜는(-0-) 스타일입니다. 

안그래도 제대로된 대우를 못 받는 대한민국의 현실에서 금전까지 지출했는데 손해까지 봐야한다면 당연히 열받는 상황이 아니겠습니까?


[자국상품인데도 국민을 호갱화했다고 욕먹고 있는 TV]


대표적으로 의류.  이미 검색을 해보신분은 알겠지만 어줍잖은 브랜드하나라도 붙어버리면 이상하게 웃돈의 웃돈까지 가격표에 반영되는 것이 한국시장입니다.  거기다 사이즈는 2~3단계 더 작아진 것은 별개로 치고요. (해외제품과 동일한 사이즈차트를 가진 제품들도 있습니다.) 일반 의류에서 속옷류까지도 해외구매대상이 됩니다.  이유는 국내에서 팬티류 직접 구매하시는 분들은 잘 아시겠죠.


[성분함량이 같거나 더 농축인데도 1+1 , Get 50% 등의 프로모션이 붙는 영양제들]


그 외에도 영양제, 전자제품, 기타 주방용품등이 상당한 가격차를 가지고 있지요.  고로, 해외직구를 하게 되는 것입니다.  고가품이 아닌 생필품이라도 말이죠.  


[고급식칼의 경우도 할인, 쿠폰등으로 국내가와는 비교가 안되는 가격으로 구매가 가능]


아무튼 직구의 가장 큰 이유는 '가격' 이고 그 다음이 '품질' 입니다.  품질이야기는 국산이 질떨어진다 등의 이야기가 아닙니다만 차후에 다음 글을 쓰게 되면 첨언하도록 하지요.




두번째, 해외직구를 진행할만한가?


하지만!!!  직구가 항상(!) 싼 것은 아닙니다.  MSRP(Manufacturer's Suggested Retail Price:제조사 권장 가격?)를 기준으로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하거나 환율 및 부대비용을 고려하면 엇비슷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그 MSRP 를 기준으로 시즌별로 할인쿠폰, 추가할인쿠폰이 중복으로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보니 국내가 대비 많이 싸지는 것입니다.  거기에다 중급브랜드라도 시즌이 끝나면 MSRP 자체를 다운시키는 경우가 있으니 더더욱 싸지는 것이죠. 

MSRP 는 항상 고정(또는 갑자기 상승)에 퍼센테이지만 50~70% 라고 광고하는 국내 세일과는 좀 다른 분위기로 흘러갑니다.  물론 미국쇼핑몰중에도 MSRP 장난치는 곳은 있습니다.  그러므로 국내가와 잘 보고 비교해야되죠.


또하나는 표면적인 해외가격이 '최종가격'이 아닙니다.  면세범위 내라면 관세, 부가세가 없지만 면세범위가 아니라면 관세, 부가세가 붙게 됩니다. - 면세가 아닐 경우 관세가 없을 수는 있지만 부가세는 무조건 붙습니다. - 또한 현지(미국등 해외)에서 들여오는 배송비도 고려해야 됩니다.


그 모든 요소를 고려해도 가격이 싸고 쓸만한 물건이면 지를만 한 것이 되는거죠.




세번째, 위험성은 없는가?


원래는 두번째 사항에 합치려고 했는데 좀더 언급을 해야할 것 같아서 세번째 사항으로 씁니다. 


신문, TV 등에서 직구에 대해 이야기가 나오고 목록통관확대가 되면서 많은 분들이 시도를 하는지 관련 카페, 커뮤니티등에 많은 분들의 글이 올라옵니다.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실패담' 입니다.

대표적인 실패담은 아래와 같습니다.


  • 물품사기
  • 파손, 불량
  • 배송기간
  • 결제실패


물품사기큰 쇼핑몰에서 주문을 한다면 대부분 걸러지는데 아마존, 이베이처럼 셀러입점식인 경우 당하는 사례가 종종 있습니다.  

쇼핑몰 자체는 검증사이트(링크)를 통해서도  걸러낼 수 있습니다.

입점식의 경우는 셀러의 기존판매물품들 여부와 피드백을 보는 것으로도 걸러낼 수 있습니다만 피드백조차 조작하는 대륙발 사기들이 많이 있습니다.  MSRP 를 비교해서 이상스럽게 싸다거나 하면 그냥 손대지 않는 것도 방법입니다.


[물품을 싸게 판다고 등록된 사이트지만 실제로는 사기사이트]


파손, 불량은 보통 깨지는 물품이나 전자제품류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국내 배송중에도 깨지는데 해외라고 다를 바는 없습니다.  해외구매의 가장 큰 단점은 '직접AS 를 받을 방법이 없음'이므로 제품 외관상의 불량은 차후 설명할 배송대행업체에서 검수를 통해 걸러내야 하고 걸러내지 못해 한국에서 물건을 받았을 경우 '리턴'을 통해 다시 해외로 보낼 경우 비용이 듭니다.  이 비용까지도 고려해야 하는 물품들도 분명히 있으므로 요주의 해야 합니다.

가끔 왜 한국에서 불량을 받았는데 해외반송비를 물어주지 않느냐고 하는 분들도 계시는데 직배 상품이 아닌 이상 배대지를 통해서 한국으로 왔을 경우 판매자는 미국내로 판매한 것이지 해외반출을 고려해서 판매한 것이 아닙니다.  판매자가 그 부분을 물어줘야할 의무는 없습니다.  그런 분들은 제발 부탁이니 그냥 한국에서 사세요.  국제진상은 자제해야 합니다.


배송기간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직배를 한다해도 빨라야 2~3일, 지옥의 모 국제탁송업체의 경우(사리가 나오는다는 그곳) 보름까지도 걸립니다. 

직배가 아닌 경우는 미국 현지내에서 3~4일 정도 걸려 배송대행업체로 도착하며 배송대행업체에서는 입고, 검수, 결제, 출고 단계를 거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데 빠르면 2~3일 물량이 몰리는 시즌의 경우 1~2주까지도 생각을 해야 합니다. 


[간략히 보는 배대지를 통한 배송구조]


즉, 즉시 필요하거나 기간에 딱맞춰서 필요한 물품일 경우 미리 주문을 하지 않으면 맞춰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히 세일 시즌에는 항상 밀리므로 스케쥴이 딱딱 맞아떨어질거라는 생각은 하지 마십시요.


결제실패.  원래 자국내에서만 판매하는 쇼핑몰도 있고 불법결제(도난, 위조등)을 때문에 해외카드를 받지 않는 쇼핑몰도 있습니다.  


[해외결제카드를 잘 받지 않는 대표적 사이트]


이 경우에는 '변팔(해외주소를 등록한 불법적 페이팔)' , '해외주소등록한 카드' , 'ip우회 사이트 접속'등으로 결제가 가능해질수도 있습니다만 캔슬되기도 하고 배송되었다가도 중간에 인터셉트당하기도 합니다.  이건 사기업들의 자기보호에 관련된 부분이라 그들을 욕할 이유가 없습니다.  오히려 편법으로 결제해서 억지로 사가는 사람들이 문제인 겁니다.  되면 좋은 것이고 안되더라도 어쩔 수 없다 라는 마인드가 필요하죠.

특히 변팔의 경우 계정이 잠겨버리는 경우도 생기면 계정에 밸런스(잔고)가 있어도 처리하기 힘들어지므로 주의를 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