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수스 공유기(1900P) 전원어댑터 교체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19. 8. 29. 21:51

갑작스럽게 공유기가 전원이 반복적으로 on/off 되어 확인을 해보니 월마운트(휴대폰 충전기와 같은)형태의 어댑터에서 노이즈와 함께 출력 전압이 심하게 요동치는 것을 확인하여 임시적으로 번들 어댑터로 교체하였습니다.

원래 쓰던 어댑터는 아수스 젠북용 어댑터(19V 2.37A - 번들어댑터는 19V 1.75A)로 45W 스펙이고 번들 어댑터보다 용량이 높아 수명상 이득이 있을 거라 생각하고 구매했던 제품입니다.  커넥터는 물론 4.0/1.35 입니다.(이 규격이 매우 더러운 규격입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1년만에 고장이 나서 야밤에 빅엿을 먹여주었네요.

[ 참고사진 - 번들어댑터 사용중 온도 섭씨 46.2도 ]

젠북용 어댑터가 아닌 기본 번들 어댑터의 온도 입니다.  에어컨 가동으로 실내온도가 섭씨 26도 정도입니다만 기본적인 온도가 섭씨 46.2도 입니다.   싸구려 적외선온도계라 정밀도가 낮다하더라도 충분히 뜨겁게 느껴지는 온도입니다.  24시간 동작해야되는 공유기의 특성을 생각하면 장기간 동작은 위험하지 않을까 싶네요.

월마운트 어댑터의 단점은 사용기기의 부하에 따라 열방출이 잘되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는 쉐이프를 구조적으로 가지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smps 어댑터라고 변압/변류하는데 열발생이 전혀 없지는 않습니다.

아무튼 열받은 상태로 새제품을 알아보던 중 역시나 떠오르는 X더스 , X트킹 , X전사 등의 호환 어댑터들이 보입니다만 다들 용량에 대비해 가격을 측정하는게 아닌 듯 특정 제품(아수스 공유기등)만 가격이 높고 코드전원선(8자 케이블)은 별도 구매등 여러모로 사람 성격을 긁는 옵션질로 제외시켰습니다. (asus rt-n66 때 경험도 한몫했습니다.)

그러다가 모사이트 회원의 글에서 Pwr 이라는 회사의 제품을 알게되어 구매를 하였습니다.

[ PWR+ 전면 ]

 

[ PWR+ 후면 - FREE VOLTS , 19V 3.42A MAX 65W ]

 

[ PWR+ - 전원커넥터 3구 일명 '크로바 케이블' ]

 

[ 기본번들 전원케이블 - 3심 0.824mm^2 , 절연이 조금 걱정되긴 하지만 고부하 제품이 아니므로 그냥 쓰기로 함 ]

 

[ 구 어댑터 커넥터 (좌) , PWR+ 어댑터 커넥터 (우) ]

약간 다르게 생긴 것은 극성분리를 위한 플라스틱가이드 탓인 듯 싶고 크기야 정해진 규격 그대로 이다.

 

[ DC 출력선 굵기 비교 ]

사진상 구분이 쉽지 않은 것 같이 보이는데 그냥 1.6~1.8배 정도 난다고 보면 될 듯 하다.  어차피 피복굵기 차이일 가능성도 있고 피복차이일 경우 절연내력차외에는 큰 의미는 없다고 보여진다. 
DC 전압출력측에 페라이트가 크게 필요한가 싶긴한데... 뭐 있어서 나쁠 건 없으니...

[ PWR+ 어댑터 동작 ]

파란색 LED 바만 눈에 띌 뿐 특별함은 없다.  애시당초 어댑터에 뭘 바라나... 

 

[ PWR+ 어댑터 작동온도 #1 - 상단부 섭씨 30.5~30.6도 ]
[ PWR+ 어댑터 동작온도 #2 - 전원케이블 인입부 섭씨 33.5도 ]

 

월마운트형이 보다는 확실히 온도가 낮은데 다른 국산들은 어떤지 모르겠다.

19V 에 전압파형 찍어본 들 수명을 산출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온도낮은 것 나름 만족하고 쓸데없는 지출없이 1년 이상 가길 바란다.


  1. 4.0/1.35 규격의 DC출력 커넥터는 국내에선 거의 쓰지 않고 중국쪽에서 많이 쓰이는 것 같은데 덕분에 Asus 제품들의 호환 어댑터 제작 업체들의 제품가격을 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상향고정시켜서 팔게 해주는 빌미가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국내에서 어댑터를 제작해 판매하는 업체들의 기술력은 모르겠지만 편의성하나만은 개똥 같은 것이 변환 어댑터를 쉽게 구하기도 어렵고 제조사측에서도 더 값 싸고 용량이 큰 어댑터(전압은 반드시 같아야 한다!!!)를 사도 커넥터 때문에 쓰질 못하는 것이다.

    특히 5.5/2.5 출력규격의 어댑터가 있는데 이를 가져다 쓰고 싶으면 알리등에서 DC adapter 를 검색해서 구매하면 된다. (참조링크) Asus 규격은 4.0/1.35 출력이므로 입력은 5.5/2.1 이고 출력은 4.0/1.35 인 제품을 구매하면 된다.

  2. 어댑터를 혼용할 때는 반드시 전압은 동일해야 한다.  '사용전압이 19V 이니 20V 의 어댑터를 별차이 안나니 써도 되겠지' 이러다가 눈앞에서 불꽃을 볼 수도 있고 처음에는 멀쩡하다가 서서히 죽는 기기를 볼 수도 있다.

[공유기/쿨링팬] 쿨링팬 교체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18. 9. 21. 22:42

쿨링팬 작업(http://seriousfakej.tistory.com/428)하면서 다X소 제품의 부실함을 몸소 체험하고 플라스틱 받침대를 분리하면서 모터자체에 충격이 간건지 회전시 소음과 간헐적 부동작을 보여서 빠른 추가주문을 했다.


이미 알려질대로 알려진 링크로 주문한 '60mm 듀얼팬 usb 커넥터 제품'.  한 일주일 걸려서 도착한 것 같은데 다행스럽게도 추석전에 도착해서 속편히 글 쓸 수 있어 다행이다.


[ 노오란 봉투~ 대륙의 봉투~ ]


빈번하게 중국에서 소형 우편물이 도착하니 우체부선생께서 이상스럽게 보신다.  나는 중국인이 아닙니다.....




[ 제품내용물 ]


내용물은 별다른 것이 없는데...  가격이 제법 나가는만큼(?) 알차게 구성되어 있다.  2팬 , 팬그릴 2개 , 필터 2개 , 양면테잎 4개 , 나사피스 8개 , 알 수 없는 명함(?) 하나...



[ 팬 모터 스티커 ]


세부적인 스펙이나 타입이 적혀있지 않아 명확하진 않지만 가격대로 봐서나 스티커 안쪽의 구조로 봐서나 슬리브베어링팬일 가능성이 높아보인다. 

슬리브팬이 저가라고는하지만 초반 사용에 있어 고가의 볼베어링제품이나 유체베어링제품이 아닌 이상 소음 자체가 낮은 종류는 슬리브쪽이었던 것 같다.  물론 그것도 adda 쪽 팬이었지만... 



[ 각종 부품들 체결후 ]


대충 조립(?)을 마친 사진이다.  나름 필터와 팬그릴이 뭔가 있어보이지만 현실은 잡다구리하다.  어차피 기본적인 용도로만 쓰는 것이니만큼 그냥 신경 끄기로 했다.  지금 상태만으로도 가격은 이미 다X소를 넘어섰고 퀄리티도 다르다.



[ usb 전류 입력 확인 ]


기본구동 상태에서 전류는 0.25A 정도를 소비한다.  이 때의 팬소음은 약간의 풍절음만을 가진 소풍압의 팬이다.  60mm 에서 뭘 바라나...  다만 rpm 을 좀 낮췄다면 소음은 더 줄지 않았을까 싶긴하다.



[ 기존 쿨링팬과 비교 ]


크기 비교사진인데 다를게 없다.  같은 크기의 쿨링팬으로 어떤 차이가 나는지는...  



[ 글루건 마무리 ]


양면테잎으로 부착을 하게 되면 그 두께만큼 공유기와 단차가 생긴다.  그래서 단단히 고정시키는 겸, 풍량이 단차로 빠지는 것을 방지되길 기대하면서 글루건으로 마무리 작업을 해주었다.



결론은 좀 놀랍긴한데...



방안온도(보일러 온도계를 기준 섭씨 25도)가 좀 낮긴하지만 idle 상태에서 섭씨 55도를 찍어준다.  음... 



급한게 아니라면 처음부터 확실한 해결책이나 제품으로 가는 것이 시간과 돈을 아끼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느낀다.


[공유기] Asus RT-AC1900P 와... 쿨링팬

Asus RT-N66 을 잘 쓰고 있다가


멀린펌웨어의 구형모델 지원중단에 1900P 의 가격하락.  그리고 무엇보다 갑작스런 업글 욕구가 넘쳐서


Asus RT-AC1900P 를 질러버렸다.



1900P 모델은 Asus RT 라인업중 AC68 시리즈의 최종 리비전 같은(?) 모델로...


[ https://www.snbforums.com/threads/rt-ac68u-reporting-1-ghz-cpu.29183/page-3 ]


[ https://www.snbforums.com/threads/rt-ac3100-vs-rt-ac88u-vs-rt-ac3200.32088/ ]


CPU 변경과 Clock Speed 가 강화된 제품이고 기존 68U 의 USB3.0 이슈가 수정된 제품.  공유기에 usb 장비 덕지덕지 붙일 것이 아니라면 큰 문제는 아니지만 68U 이후 68P 제품이 나온 이상 굳이 문제 있는 구제품을 살 이유는 없다고 본다. 


제품 자체는 BestBuy Exclusive Version 이라고 한다.  TM 1900 제품이 Tmobile Bundle 인 것처럼...


참고로 U/R 라인은 리테일/리퍼 구분이 아닌 판매망 차이라고 하며 동일제품.  W 은 통상 White 모델을 뜻한다고 한다.


공유기의 cpu 와 클럭이 큰 상관이 있냐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한국 공유기의 황태자(?) 아XX타X 조차도 점점 스펙이 올라가고 있다.  기가비트 wan , 내부 네트워크 때문에라도 공유기가 중간에서 처리해야할 데이터량이 많아졌다는 이야기라고 보면 될 것이다.


어쨌거나, 새로 들여서 멀린펌웨어 업데이트하고 ddns 셋팅해놓고 쓰는데...  이놈이 열이 많이 난다는 이야기를 들었던지라...  관리자페이지의 관리화면을 들어갔더니...

아낰...  불타고 있네?!


[ 으어어 불타고 있다~ ]

히터 틀어둔 온도 아니다...


참고로 3평 조금 더 되는 침실방에 공유기가 있고 에어컨 26℃ 임에도 저렇다.  책상 뒤편에 있는 점을 고려하더라도 패시브쿨링으로는 저 모양이라는 이야기.  BCM 칩들의 작동한계온도가 어떤지는 몰라도 이런 온도로 버틴다는게 기기자체에 좋을리도 없을 것 같고 쿨링팬하나 달아주기로 했다.


온도가 높을 시 전자부품들의 수명과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칩 자체가 버틴다하더라도 R/L/C 쪽이 특히 C 쪽이 못버틸 확률이 높아진다. 


더군다나 온도문제로 아수스 공유기의 무선품질이 낮아진다는 유저들 하소연도 있는 걸로봐선 칩들자체도 그닥 열에 강한 것 같진 않다.


알리에서도 팔고 국내의 60mm 팬을 사다 선만 까서 작업해도 되는데 귀찮아서 다X소의 제품을 샀다.배송비까지 결제하니 6천원짜리 제품이 되어버렸는데. 결론만 말하면 동네매장에서 살 수 없다면 그냥 알리것을 사는 것이 나을 것 같다. 


[ 다X소 노트북용 쿨링패드 ]


[ X자 받침의 쿨링패드 - 아스트랄한 모양 ]


퀄리티에 있어서 좋지는 않기 때문이다.  만약 사용하다 팬이 고장나거나하면 그냥 알리에서 살 것 같다.


[ 다리 리벳고정쇠 ]


[ 장렬한 분해 ]


어쨌거나 샀으니 써먹어야하니 대충 노트북용 받침인 X 자 다리들을 뺀찌로 분해해주고 양면테잎으로 가운데만 붙여서 붙여줬다.



[ 분해후 재부착 ]


공유기의 몸통 자체가 가운데가 튀어나온 형태라 팬 자체가 공중에 떠서 제대로 송풍이 될까 싶었는데 나름 잘 먹히는 것 같다.  usb 에 꽂아 동작시키자마자 온도가 떨어지기 시작한다. 

다만, 공유기 케이스의 홈들이 바람이 잘 들어갈만한 구조가 아니라서 홀쏘로 홀을 파버리면 쿨링이 더 잘 될 것 같긴하지만...  이 정도만해도 괜찮을 것 같다.  


[ 쿨러 작동후 온도 하락 ]


엄청난 온도하락을 보여준다.  아수스 이놈들...  팬하나 달아주지 이게 뭐하는 짓인지... 


최종적으로 CPU 온도가 20℃ 이상 하락하고(80℃ → 58℃)

무선랜 온도(2.4Ghz , 5Ghz)는 약 7~8℃ 정도 하락한다. 





18/09/10 추가내용


팬 자체 진동음.  글루건 고정 후 발생한 것이긴하나 모터축 뒤틀림으로 인한 소음으로 판단. 


Asus RT-N65R 도착.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13. 8. 20. 13:27

결국 AC66 은 오버스펙이라는 생각이 들어 다른 분께 양도하고


N 타입에서 고르다보니 N66 과 N65 가 물망에 올랐고 이리저리 재보던 중


N66 이 AC66 과 가격차가 별로 나지 않는다는 점과 N65 가 인테나임에도 무선 커버리지는 충분하다 라는 평이 많아서 N65 로 다시 구매하였습니다.


그나마 조금 할인받아서 구매하여 다행이지만 구매후 $2 더 떨어져서 속쓰린건 안습... ㅋ





여전히 무지박스로 왔네요.  그러고보니 정품박스로 받았다는 분이 계셨던가?  


저번 AC66 박스보다 박스 상태는 더 안좋은 것 같습니다. 





단촐한 구성...   랜케이블 들어있었다는 분도 계셨는데 저는 AC66 때나 이번 N65 때나 차이가 없네요.


그나마 커버라도 깔끔하게 붙어있어서 다행이네요.





받침대와 어댑터 , 본품 밑에 깔려있는 매뉴얼과 시디는 사용할 일이 있을까요? ㅎㅎ





돼지코만 붙이면 되는 프리볼트 어댑터





커버가 붙어 있습니다.  리퍼 맞나는 생각도 들지요.

몇일 써보고 반품한다는 현지인들이 있다는 글들을 보면 이런 상태가 당연한지도 모르겠네요.




커버 스티커 떼고 난 블링블링 한 모습...

디자인 쩝니다.





N65 의 장점 이라면


USB 3.0 이라던가

USB 3.0 이라던가...

USB 3.0 이라던가......





방구석에 먼지가 많다보니 벌써 먼지가 덕지덕지...


그래도 블링블링한 모습은 그대로 입니다.





===


셋팅하면서 기가비트 연결이 안되길래 이래저래 만졌습니다만 결국 커펌 올리고서야 기가비트연결이 인식되었습니다.  기가비트가 필요한 상황도 아니고 다른 기기들과의 내부망이 연결된 것도 아니지만 불량인가 싶어 걱정했는데 연결 확인이 되니 뭐...


그리고 발열은 역시나 AC66 만큼이나 납니다.   겨울에는 모르겠지만 여름에는 실내온도 높여주는데 일조할 것 같네요.



아쉬운 점은 LED 점등 시간을 조절할 수 없다는 점일까요.  와이파이 동작 시간은 설정이 가능하면서 왜 led 는 안했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커펌에서도 끄는기능은 있는데 시간대 조절은 없네요.



Asus RT-AC66R 아이폰5 wifi 테스트






604A 는 5Ghz 밴드 지원이 안되는 제품으로

ac66 과 비교하면 당연히 저런 차이가 나는거고


iptime 604A 제품이 문제가 있다는 이야기는 아니므로


참고용으로 보십시요.


공유기 끝판왕?! Asus RT-AC66R 도착!

싼맛에 iptime 잘 쓰고 있다가 과도한 전송을 버티지 못하고 죽는 경우가 발생하고 와이파이 커버리지나 기타 많은 면모에서 불만족스럽던 중


갑자기 뙇!  하고 오신 지름신께서 Asus RT-AC66R 을 점지해주셨습니다.



음...


망할 지름신...








박스가 큽니다.  어허라?   뭐시라?  음?




?

??

???


분노의 18pt 크기.




야이!!  배대지 이 망할!!!


어쩐지  부피무게 쳐맞았다 싶었더니!!!


ㅁㄴ이ㅏㅓ로ㅔㅐ무님러ㅐㅑ!!!





아무튼 꺼내서 무지박스를 여는 순간!!!


광채가!!!


뙇!!!!





의미없는 아수스 마크 뙇!




위엄있는 3 안테나 뙇!!!




뒷 모습!




604A 의 자리를 차지하신 AC66





뭐...  어차피 기가빗 내부망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NAS 사용자도 아니고 돈 버린 뻘 짓인지도 모르겠습니다만...


그래도 왠지 속이 시원한 지름이네요.


나중에 N66 이 더 싸게 뜨면 팔아먹고 옮겨탈지도 모르겠습니다.   ㅎㅎㅎ



기본펌으로 사용중인데 좀더 알아보고 멀린이나 wrt 펌웨어를 알아봐야것네요.


기본펌웨어도 기본속도는 다 나와주고 있고


무엇보다 커버리지는 확실하게 좋아졌습니다.  


단지 led 점멸이나 이런 옵션등은 못 찾았는데 없는건지...  ㅎㅎㅎ  아쉽네요.  생각외로 밝아서 밤에는 눈 좀 부실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