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기] 비프렌드 아이매직 GKEYBOARD2 ECHO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15. 11. 5. 23:47

플웨즈 샵플 이벤트로 구매하게된 제품입니다.  9900원에 비키스타일의 키보드길래 그냥 질렀던 제품이지요.  3일 정도 사용하면서 느낀 점을 적어보고자 합니다. 


-개인사비로 구매한 제품입니다-


[ 제품 포장 #1 ]


외부 박스포장이 있고 위처럼 에어캡 포장된 내부무지박스가 배송되어 왔습니다.  가격대비(?) 충실한 포장이네요.  가끔 본품에 에어캡만 둘둘 말아서 보내는 곳이 있었기에 이 부분은 약간 감격했습니다.  ㅋ



[ 제품 포장 #2 - 무지박스 ]


그냥 무지박스에요.  제품명이 크게 박혀 있어서 구별은 쉽겠네요. 



[ 제품 포장 #3 - 개봉 ]


열었더니... 똬단... 뒤집혀서 들어있네요.  순간 움찔...



[ 제품 #1 ]


오... 깔끔합니다.  역시 화이트 선택하게한 느낌 그대로의 깔끔하고 화사합니다.



[ 제품 #2 - 우측 로고 ]


하이그로시 상판으로 블링블링 합니다.  이쁩니다.  비키스타일+하이그로시으로 산뜻한 느낌이 납니다.  애플키보드 보는 느낌도 드는데.  디자인적으로는 지적받을 일은 없을 것 같네요.


이제 넘버패드 분리형으로 내주면 완전체 -_-ㅋ;;;


올화이트라서 식상하다면 다른 색상조합인 펑키한 라임컬러강렬한 블랙오렌지도 괜찮을 것 같네요. 



[ 제품 #3 - 비키스타일 키캡 ]


먼지가 끼어도 블로워로 훅~ 하면 모조리 털어질 것 같습니다.  블링블링한 하이그로시 상판 다시한번~



[ 제품 #4 - 스카이디지털 Nkey 와 비교 ]


전형적인 디자인의 Nkey 와 비교입니다.  상단부가 없어진만큼 상당히 작게 느껴집니다.


사진은 못 찍었습니다만 둘다 높이조절발을 펼친 상태에서도 에코가 좀더 높습니다.  자판의 각도도 그렇구요.  다시말해, 손목이 많이 꺽이는 분들은 스텝스컬쳐만 고려해도 충분한 각도가 나오므로 높이조절발을 안펴셔도 될 것 같습니다. 




제품 사진이야 다른 기사나 상품페이지가 더 이쁘게 잘 찍어뒀으니 그걸 보시면 됩니다.  리뷰들도 뜰테니까요.



[ 동시입력 테스트 #1 - 방향키 ]


*주의 : 모든방향키를 누른 상태에서 키조합을 찾는 방법은 키조합테스트의 합리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일종의 예시로 한 테스트임을 고려해주세요.


한가지 예시로써 해본 테스트 입니다. 


오른손으로 방향키(↑↓←→)를 다 누른상태에서 왼손으로 누를 수 있는 키들입니다. 

평균 5~6키 많게는 7~8키까지 억지로 눌러본 것인데 어떤 키들인지 아시겠지요?


상하좌우, qwer asdf zxcv , shift , ctrl 는 입력이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alt 의 경우 상좌우(하 제외) 상태에서는 동시입력이 됩니다.


지구인이 맞다면 육손이라도 3~4키가 한계일 겁니다.  그러므로 상하좌우를 막누른 정말 막되먹은 입력상태에서도 위 키조합들은 충분한 동시입력을 받아준다는 이야기입니다. 

키보드+마우스 조합이라면 말할 것은 더 없겠지요.


특이한 것은 넘버패드 쪽인데요.



[ 동시입력 테스트 #2 - 넘버패드 ]


조합 다 찾아 입력해보려다가 실패했습니다.  대충 봐주세요.  -_-ㅋ;


4+8 넘버패드 ZXC 입력 상태에서(5키) 추가입력이 가능한 키를 찾아보았습니다.  R , T , F , G 는 입력되었지만 가까운 V , B 는 입력되지 않습니다.  N , M 키는 입력됩니다.


4+8 넘버패드 조합에서 같은 방향 7 이 입력되지 않는 것처럼 8+6 조합일때 9가 입력되지 않았습니다. 


예상이지만 키보드를 전체적으로 3개~4개의 부위로 나눠서 키조합이 되게끔 만든게 아닐까 합니다.

아이매직측에서 가능한 키조합에 대한 정보를 빨리 제공해줘야 할 것 같습니다.


이 정도 조합이면 상식적인 조합이라 생각합니다.  키조합이 많고 사용키가 많을 수록 게임에서 오입력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격투게임조차도 특정커맨드(도발, 초오의등)에 6키 이상을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제 기준으로는 상식적인 키조합배치를 해놨다고 생각됩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기준하에서지만요.


그리고 재미있는 사실...


스파4 주리 풍파인 모으기를 할때 에코는 3회 다 모을 수 있었지만...   nkey는 무한입력키보드임에도 2회이상 모으기가 불가능했습니다. 

재미있죠?  nkey 가 나쁘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동시입력은 확실히 nkey 더 많이됩니다.  하지만 키 처리방식의 차이인지 저렇게 된다는 겁니다.


게이밍키보드라고 광고할 정도인지 아닌지는 개인마다 기준이 있으실테니 그 부분은 빼고 나머지만 따져보자면 충분히 괜찮네?  할 정도는 되는 것 같습니다.




키감의 경우 제 느낌에는 흑축보다는 '넌클릭에 가깝지 않나?' 라고 느껴지더군요.  저도 기계식은 많이 써본게 아니라 뭐라 말하긴 어렵지만 그렇습니다. 


아XXX 의 플런저 게이밍키보드에 비하면 같은 플런저임에도 에코는 좀더 쫀득한 키감입니다.  좀 더 명확히 쓰자면 플런저 특유의 서걱거리는 느낌이 덜하다고 할 것 같습니다.


무게는 1kg 가량(상품정보)이라는데 상당히 격하게 타이핑을 하더라도 키보드자체가 흔들리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현재는 원래 사용하던 nkey 를 밀어내고 주력키보드로 사용중입니다.  키 반응, 눈의 즐거움, 청소의 용이함에서 에코가 더 좋을 것 같더라구요. 


가격대는 다나와기준으로 최저가 1.8만 정도입니다.  아직 판매몰이 11월6일 기준으로 28개 라는 것을 생각해보면 좀더 떨어질 가능성도 있지만 확 떨어지지 않는 한 1.6만 정도에서 거래되지 않을까 싶은데 비슷한 가격대의 게이밍 키보드로 검색해보면 19키, 26키들이 다수입니다.  결국 키조합은 동일 선상에 있다보여지고 선택은 특정게임에서의 키조합 가능여부나 디자인적인 요소에서 갈릴 것 같네요.


디자인은 호불호가 있는지라 딱 집어서 이야기할 수 없습니다만 LED 없는 비키모델중에서는 제일 이쁜 것 같다는 것이 제 평가입니다.


어거지로 장단점을 정리하면


- 장점

1. 비키+하이그로시상판으로 시각적인 즐거움

2. 위에서 언급하지 않았지만 긴 스페이스바

3. 몸체를 슬림하게 만들어 공간적 이점

4. 충분한 무게감


- 단점?

1. 플런저키감의 애매함(플런저의 특성;이건 기계식도 아니고 멤브레인도 아녀~)

2. 한자키의 우측배열

3. 키조합 정보의 부재 그리고 한계(라인업의 특성일수도)



[PSU/수령기] AONE MONSTER 500W Brozne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15. 3. 21. 01:08


음...  생각지도 않게 이벤트 당첨으로 받게되었네요.


플웨즈와 쿨엔 리뷰를 보면 '고급'이라고 타이틀 붙여줄 정도는 아니지만 충분히 제 값을 다하는 파워라고 생각되네요.  리플쪽이 제법 깨끗한 편에 속한다는 점이 좋으네요.


500W , 주사용용량(개인적 기준:100~300W)에서 평균 85~86% 효율 , 중급 이상의 리플노이즈와 전압강하


플웨즈 리뷰 - http://www.playwares.com/xe/46185172

쿨엔 리뷰 - http://www.coolenjoy.net/bbs/boardc.php?board=review&no=25238


아무튼 중저가 시스템 조립시에 충분히 좋은 선택이 될 것 같습니다.  마닉 파워와 더불어 선택권이 넓어졌네요.  ㅎㅎ



[ 박스 ]


이뿌장 합니다. 



[ 박스 - 오픈 ]


제품, 설명서, 전원코드, 케이블타이가 들어 있네요.  하나하나 찍지는 않았네요.



[ Q.C PASS 스티커 ]


오~ 2015년 2월 생산 제품이네요. 



[ VGA 6+2핀 케이블 ]


6+2 케이블이 2개 입니다.  8+8 장착이 가능해지는 부분입니다만...  8+8 전원부를 가진 그래픽카드들의 위용을 생각해보면 장기적으로는 위험하지 않을까 싶네요.

케이블 하나에서 다 나오네요.



[ 케이블 ]


메쉬처리까지는 못하더라도 정리 좀 해서 케이블 타이라도 묶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멋대로 엉켜있어서 풀어헤치는데 좀 힘들더군요.








안텍 P100 케이스 간단평.

원래는 글픽업글이나 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케이스가 3R 120 이다보니 VGA 설치공간이 작아서 설치를 못하더군요.  -_-;;   글픽을 지르고나서야 알아챘고 누드케이스로 써야겠다했는데 글픽까지 물량없다고 취소되길래 빡쳐서 그냥 케이스 질렀습니다.


계속 눈여겨 보고 있던 Antec P100 입니다.  관련리뷰는 플웨즈, 쿨엔의 글을 참고하시고요.


플웨즈 리뷰 - [링크]

쿨엔 리뷰 - [링크]


저는 설치하면서 느낀 점만 간단히 적어보겠습니다.



[ 택배인증 ]


박스가 무시무시하더군요.  이것도 빅타워급에서는 작거나 좀 큰 미들 크기인데 이렇군요.



[ Antec - Believe it ] 


Antec 의 월드워런티와 AS 기간을 믿쑵니다~ ㅋ





[ 깨진 나사 헤드 #1 ]


일 정리하고 야밤에 설치하면서 찍은 사진이라 손이 지저분 합니다.  ㅎㅎㅎ;;  

처음에는 새로운 디자인의 나사인가 심하게 고민했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살펴봐도 정상적인 나사로 보이지는 않더군요.



[ 깨지 나사 헤드 #2 ]


나사산은 멀쩡한데 헤드가 눌려서 깨진 모양입니다.  그것도 한쪽으로 눌려서 말이죠. 



[ 전면베젤 뜨임 #1 ]


한쪽이 어둡긴하지만 왼쪽이 살짝 뜨인 것이 보일 겁니다.



[ 전면베젤 뜨임 #2 - 우측 ]


나름 잘 붙어있죠? 



[ 전면베젤 뜨임 #3 - 좌측 ]


원안의 것은 리벳인 것 같습니다.  카메라 역광아니에요.  내부 섀시의 리벳이 보일정도로 틈이 있습니다.



[ 우측 패널 뜨임 ]


원래 저런 디자인이라 하기에는 틈이 크네요.  그리고 하단쪽은 눌러보면 들어갔다 나왔다 합니다.  이해할만한 수준이라고 할 수도 있긴할텐데 좀 그러네요.



[ 5.25 베이 고정가이드 ]


저 가이드의 고정방식은 슬롯에 드라이브가 들어와서 뒤쪽까지 밀어내면 시소처럼 앞쪽이 기울어서 고정되는 방식인 것 같습니다.

문제는 잘만의 MFC3 나 기타 팬컨들처럼 베이가 반쪽짜리일 경우에는 고정이 안됩니다.  그래서 저렇게 신문을 접어서 끼워뒀습니다.  모양새 빠지네요.  ㅎㅎㅎ;



[ 조립후 ]


대충 그냥저냥 꽂아뒀습니다.  선정리고 뭐고 귀찮아서 그냥 꽂아뒀네요.  애매하네요. 





케이스 자체는 묵직하고 고무발도 통짜로 되어 있어서 본드녹았다고 빠져나가고 하진 않을 것 같습니다.


프론트패널과 베젤 먼지필터로 인해 쿨링에 손해는 있을지몰라도 단순 타공처리된 제품들에 비해 소음과 먼지처리에 메리트가 있습니다.  이건 확실해요.  제 방에 먼지가 많거든요.  -_-;;;


전에 패널이 양쪽으로 모두 열리는 방식을 본 것 같은데 안텍 제품이 아니었나봅니다.  한쪽방향이라 조금 불편하네요.  케이스를 오른쪽 아래에 두다보니손에 거슬립니다.  그래도 270도 가량 열리는 더블힌지 방식이라 중간에 걸려서 힘들지는 않겠네요.


섀시도 두껍고 하드가이드의 고무발로 인해 하드노이즈가 거의 느껴지지 않습니다.  이 정도면 하노킬과 동급수준이 될 것 같습니다.  가이드와 케이스가 유격이 심해져 부딪히지만 않는다면 말이죠.


소음도 번들팬들 전부 L 로 돌려놓고 써서 그런가 내부 풍절음은 측면에서는 거의 들리지 않습니다.  후면으로 나오는 바람소리는 어쩔 수 없지만요.  이 부분은 책상에 올려놓고 옆에서 쓰시는 분들에게는 도움이 될 겁니다.


다만 깨진 나사, 베젤유격 상태가 Q.C pass 스티커를 의심하게 만드네요.  


나사도 구분도 안되게 다 섞여 있는 것은 그렇다쳐도 구분 매뉴얼도 없다는 것은 실망입니다.  한글매뉴얼이 없다는 것도요.


5.25인치 베이가이드가 짧은 베이도 제대로 장착이 될 수 있게끔 개선되거나 단순히 눌러고정시키는게 아닌 꽂아서 홀딩 시키는 방식으로 바뀌었으면 합니다.


5.25인치 베이 갯수도 문제가 된다고 봅니다.  P280 에 비해 오히려 P100 이 3.5인치 베이가 많아요.  하드 이렇게 많이 꽂는 경우가 많아지는지는 모르겠는데...

5.25베이는 팬컨이나 기타 멀티콘트롤러로 쓸일이 제법 있습니다.  그리고 전면3.5베이는 메모리리더등으로 쓰이기도하고요.  5.25베이 2~3개, 3.5베이 1개, 히든 베이 나머지로 가면 좋겠다 생각합니다.  이런 방식이 되면 중간부분의 3.5베이로 인해 그래픽카드장착공간에 + 가 되겠지요.  하다못해 지지대라도 생기던가...






[리뷰/펌글/이벤트참여] ANTEC EDGE 650W 80PLUS GOLD

피씨용기록/이벤트無狼
2014. 10. 31. 22:12



PSU 계의 명품취급을 받던 Antec.  요새는 워낙 고급지향파워들이 쏟아져나오다보니 많이 묻힌 느낌이지만 여전히 건재하다고 말할 수 있는 브랜드라고 생각합니다.


사족을 몇가지 덧붙이자면...


가끔보면 이런 고가의 파워가 무슨 효용이 있다고 사느냐는 사람들이 있던데 효율이 높을수록 같은 출력을 내주는데 있어 소모되는 전력이 줄어들고 AC-DC 효율을 제외한 나머지 '발열'로 소모되는 전력이 줄어듭니다.


예를들어, 80Plus Gold 등급을 기준으로 최대 92% 효율이라함은 100W 의 전력을 공급해주기 위해 약 108.97W 만큼의 전력을 콘센트에서 끌어다써야 합니다.  효율이 높을수록 공급하는 용량에 가까운 전력을 소모하게되는 것이죠.  그리고 그 나머지는 모두 열로... 



[ 참고 도식 ]


장시간 고성능 CPU/VGA 를 구동할시에는 300W 에 육박하는 전력을 소모하게 됩니다.  근자에 저전력/고성능으로 인기있는 nVIDIA 의 980 을 기준으로 잡아도 intel 4770k@4.5Ghz 기준 250~270W 를 보여줍니다.  AMD 290x 의 경우는 340~360W 를 찍습니다.  이런 경우 위 90% , 80% 효율차에 의한 전력소모차는 더욱 커지게 됩니다.


이런 전력 소모의 차이는 단순히 '전기세 얼마 차이' 로 끝나지 않습니다. 효율에 따른 나머지 전력은 열이 되어 배출되는데 발열이 되는만큼 전자/전기제품의 수명환경은 좋지 않으며 무엇보다 열배출을 위해 달게되는 팬들 역시 고RPM 으로 돌게 됩니다.  그만큼 소음이 커지죠.  


아래 첨부이미지처럼 호율이 높을수록 구동중에도 상온에서 큰 차이가 없는 열을 배출합니다.  그만큼 팬은 저RPM 으로 구동되어도 된다는것이죠.


[ ANTEC EDGE 650W 파워의 발열측정 (출처 : 플웨즈) ]



물론, 하루 사용량이 적고 저사양의 시스템을 쓰는 유저에게는 큰차이도 없게느껴지고 제품가격차만 크게 느껴질지도 모르지만요.


그리고 고급파워를 써야하는 또다른 이유는 변환된 전류의 품질입니다.  


[ ANTEC EDGE 650W 파워의 50% 로드시 리플 노이즈값 (출처 : 플웨즈) ]



요즘에야 어느정도 상향평준화되어서 12V , 5V 등 출력이 깨끗한 편이지만 흔히들 말하는 '뻥파워 시절'에는 부하시에 전압이 출렁거리는 정도나 전압강하자체가 심한 경우가 많아 파워는 둘째치고 그 출력을 받는 나머지 기기들이 급사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유없는 시스템 꺼짐이나 정지 같은 경우도 발생하게되죠.

단순히 출력이 500~600W 이나되니까 그보다 낮은 전력을 쓸 경우 멀쩡해야되지 않느냐 라고 할수도 있지만 그 상황에서 그대로 오실로스코프나 멀티미터로 찍어보기전엔(probe 로) 모르는거죠.


마지막으로 부가적인 요소가 있습니다.


[ ANTEC EDGE 650W 파워의 플랫&모듈러 케이블 (출처 : 플웨즈) ]


선정리는 정리의 쾌감(?)뿐만이 아니라 내부 선엉킴이나 꺾임으로 인한 단선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모듈러형태의 탈착형 케이블과 케이블자체가 플랫하다면 한결 수월하게 관리할 수 있겠지요.





플웨즈 출처의 이미지는 본 이벤트용 '리뷰'의 일부분으로 문제시 삭제 됩니다.

웨이코스 플웨즈 이벤트당첨건 데스애더!

피씨용기록/이벤트無狼
2014. 10. 8. 15:45







심심풀이로 참여했던 이벤트였는데 이렇게 떡~  하니 마우스를 당첨. 


안그래도 예전에 쓰던 마우스들이 그리워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점지해준 플웨즈와 웨이코스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ㅎㅎㅎ


전에 쓰던 건 G9x 와 데스애더 블랙에디션이었는데 2013은 디자인이 기존 제품과 조금 틀리네요.  마우스 좌우그립 부분의 우레탄 접지부가 붙어있고 LED 광원도 녹색...

3500DPI > 6400DPI 로 바뀐 것도 그렇고 상당한 업그레이드 버전이네요.


[방입] 보리보리님이 주신 LG DVD-MULTI..

취미용장비/기타無狼
2010. 2. 3. 21:27
기존에 쓰고 있던 BenQ 1640 도 리딩/라이팅 품질 , 정숙성등 매우 만족스럽게 잘 썼습니다.  하지만 벤큐 ODD 사업부나 국내수입업체였던 페타미디어나 다 사업을 접었죠.   매우 안구에 습기가 차오릅니다.

하지만 떨어질만큼 충분히 가격이 떨어진 시기에 구매를 했는데다 구입년도로 따지면 이 녀석은 노년!  충분히 잘 부려먹었죠.  그에 걸맞게(?) 몇 번 트레이용 벨트가 끊어져 교체도 했었고...


그러던 차에 보리보리님이 방출을 해주셔서 신청을 했었는데 생각외로 경쟁율이 엄청나서 기대하지 않고 있었는데 당첨~!  "겟또다제~"

====

낮에 멍하니 앉아있는데 갑자기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물건을 보냈습니다.'  '응?!(누구?)'   목소리가 처음에 아우또바님이랑 비슷해서 '이 양반 언제 또 대전간겨?' 했는데 보리보리님...  연배가 좀 있는 걸로 알고 있었는데 목소리는 상당히 앳되게 들리더군요.  ㅎ_ㅎ);;


박스가 좀 큽니다.  더구나 배송처가... ?!!  

ODD 벌크 패키지 같더군요. 

짜잔~  깔끔한 포장과 케이블...  새 제품으로 착각했습니다. 

진짜 깨끗했습니다.  만약 트레이의 볼트 자국이 없었다면 착각할 정도로...  다시한번 보리보리님께 감사의 말씀을...

좌측이 퇴출당할 BenQ 1640 , 우측이 LG GH20NS10 입니다. 

sata 방식이라 더 마음에 드네요.   생각외로 리딩시의 진동도 없는 편이더군요.  라이팅한번 때려봐야겠습니다.

=========

오버스피드라이팅은 안되는군요.   1640에선 Ritek 스탬프의 필립스 +R 4x 를 8x 로 구워사용했었는데 LG 는 방법이 없네요.  그렇다고 미디어타입을 수정해서 사용하려니 좀 껄끄럽고...    대략 40장 가량 남았는데 그냥저냥 써야겠습니다.  4배속이라해도 대략 12분 가량 걸리니 문제는 없을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