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자축하며... topower 750W 80 +2 Version 도착 인증 사진

[ 박스 ]

두둥!!  뭐가 이리 커?!   애교스런 "당일 배송 해주세요"  급당황...  


[ 박스 개봉 ]

두둥!!   신문지?!   그리고 명정보!  여긴...   헛헛...   모종의 관계가...


[ 제품 박스 ]

무지박스... 샘플이기에 아마도 그런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어떤 정보로 얻을 수 없어서... 결국 Topower 에 직접 허접한 영어실력으로 직접 문의 메일을 넣게 되는 계기가 되었지요.


[ 메모 ]

아마도 샘플 입고시에 topower 에서 부착해서 보낸 메모 같은데 정말 그대로 보내셨네요.   근데.. Debbie 라니...  이거... 갑자기 데비백 이 생각나는...


[ 무지 박스 오픈 ]

샘플 제품이라 케이블 자체의 별도 처리는 없는 상태이고 케이블의 강성은 기존 topower octopus 모델들과 다를바 없이 억센 느낌...  그리고 전원 케이블...


[ 제품 바디 #1 ]

sample 임에도 국내 런칭 네임인 Octopus 를 그대로 달고 있습니다.  팬은 투명한 재질이고 크기는 120mm... 


[ 제품 바디 #2 ]

커넥터 부...   750W 인 이 제품은 4ch 로 파워 출력이 이루어지고 combine 모드와 split 모드를 지원하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제품은 거의 하이엔드를 지향하며 나온 제품으로 알고 있는데 커넥터 부분에 대해서는 여전히 아쉽네요.  커넥터별 채널 구분이 되어 있지 않은 점이 바로 그것!


[ 제품 바디 #3 ]

후면인데 여전히 큼직하게 뚫려있는 벌집형 타공망들과 전원버튼 그리고 fan 속도조절용 스위치가 보입니다.  아마도 이 녀석도 이 버튼을 누르면 광속의 소음에 시달리겠지요. (ㅡ.ㅡ;;;)

특이점은 출력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스위치도 있다는 사실...  아직 확실하진 않지만 single rail 출력을 위한 것이 아닐까 싶네요.


[ 제품 바디 #4 ]

split , combine 모드와 +12v RAIL 이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 제품 바디 #5 ]

측면 스펙부입니다.  이 부분이 조금 이상한데 750W 의 제품임에도 600W 제품에 비해 12v 출력에 대한 Max current 가 낮습니다.  Octopus 600W 가 18A 였는데 750W 임에도 더군다나 모드 변환 스위치로 봐선 싱글레일까지 지원하는 것 같은 이 파워가 Max Current 가 14A 라니...

현재 하이엔드 그래픽 카드들은 16A~20A 들을 권장하고 있고 그 이상을 요구하기도 하지요.  이것 자체는 대단한 스펙이라기 보다 채널에서 제품 손괴없이 출력할 수 있는 전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이는 출력부는 물론 커넥터까지의 선에서도 영향을 받게 됩니다.  전류에 의해 직접적으로 타버릴 수도 있으므로...) 의외라고 할까요... 

이 부분은 연휴가 끝나면 topower 에 문의를 해봐야할 듯 싶습니다.   아니면 폭스테크에 문의를 해도... 되려나?!


[ 제품 바디 #6 ]

배면부의 샘플 스티커...  샘플이라오~~


============================================================================

제품이 욕심이 나서 신청을 하고 신경 끄고 있었는데 의외로 선정이 되버려서...  고심중입니다.   그냥 제품 감사~  하고 써도 무방하다고 하셨으나(방출은 별개.  이건 방입조건이므로) 무언가 기록을 남겨둬야 할 것 같단 말이지요.

문제는...   로드 테스트를 제가 할 수 있을리 없잖슴뭬!!!   아마 MFC2 로 Octopus 600W 와 상대적인 비교는 해보겠지만서도(덕분에 중고로 MFC2 재구매하여 배송중인 상태) 직접적인 수치는 구하기 어려울 듯 합니다.

근데 의문스러운 점은 가격대가 높더라도 국내에서 시소닉, 에너맥스의 라인업을 생각해보았을 때 충분한 퀄리티만을 보여준다면 시장성이 있다고 판단이 되는데...  왜 국내 출시가 보류되는 것일까요.


아직 전원 테스트도 못해봤습니다만...  MFC2 가 오는대로 이리저리 만져봐야겠습니다.


폭스테크(TOPOWER) 파워 추가 케이블 도착~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08. 9. 28. 01:52
600W 제품의 경우 PCIE 출력단으로 8pin 케이블이 필요없다는 판단하에서 폭스테크는 케이블을 제외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유저별 환경을 고려치 않았다는 점때문에 추가로 이렇게 배송을 해주었다.

폭스테크에게 다시한번 감사드리고 폭스테크 배송비 지못미...  (-0-;;;)



Untitled-1.jpg
[ 배송 ]

배송은 깨끗하게 되었는데 급하게 뜯고나서야 사진을 안찍었다는 것을 깨달은 바보...  -_-;;


Untitled-2.jpg
[ 폭스테크 ]

앞으로 번창하길 진심으로 기원함둥...


Untitled-3.jpg
[ 커넥터 근접 ]

6pin + 2pin 커넥터로 단일 모듈링된 케이블


Untitled-4.jpg
[ 6핀 커넥터 근접 ]

우측의 2pin 커넥터와 결합되는 라인이 보인다.  생각외로 딱 들어맞게끔 제작되어있다.


Untitled-5.jpg
[ 8pin 커넥터 근접 ]

합체~ -_-)  아주 착~ 달라붙어 있는 2pin 커넥터를 볼 수 있다.   사진의 노이즈는 무시~ -_-);;;

TOPOWER Octopus 600W 프리뷰(?!)

피씨용기록/부품들無狼
2008. 9. 22. 21:55

infonote.pe.kr - INFONOTE 의 글
두 곳의 글은 동일하게 업데이트 됩니다.


이번 [플웨즈]에서 [폭스테크]와 공구를 진행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말로만 듣던 [TOPOWER] !!   규모가 세계적이라고 이야기만 들었지 국내에서처럼 매우 좁은 제품선택권을 가진 곳에서 보기는 어려운 브랜드이다.




측정 장비따위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압변동폭 측정 , 전압리플측정등은 다른 필테진행자분들께서 플웨즈에 올려둔 자료들이 있으므로 그냥 제품 사진과 특이한 부분들만 언급하고 패스~

topower_shot  01.jpg
[ 배송포장 ]


뭐... 추석이 끼이는 덕분에 생각보다 늦게 받게 되었지만 어쩌겠는가...  -_-;
그나저나... 뾱뾱이...  터뜨리는 재미는 사라지질 않는군화~


topower_shot  02.jpg
[ 박스 ]

 
600W 스티커 와 TOPOWER 마크가 보인다.  깔끔한 박스...

그 런데 얼마전 출고용 컴터를 조립하면서 사용한 파워는 스파XX 에서 들여오는 FSP 파워를 사용했는데 브.박에 올라온 제품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좀 차이가 난다.  메인스트림급에서 고급형이라고 하는데 좀 멋지게 내놔줬으면 좋지 않았을까 싶기도 한데... 

참고로 500 , 600W 제품은 TOPOWER 중 SilentEZ 제품이라고 하며 이 제품의 특징으로는 다음과 같다.

  • Modular Cables

  • Embedded Fan Control Circuit

  • Turbo Fan Switch


뭐... 대단한 것들은 아니고 24PIN 케이블을 제외한 케이블들이 모두 모듈형태로 되어 셋팅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후면의 스위치를 통해 팬 속도를 고속동작하게 할 수 있다는 것.

아... 그리고 이제품은 TYPICAL LOAD 에서 80% 를 약간 상회하는 효율을 보이며 최저효율은 78% 대이다.  결국 80PLUS 규격을 만족하는 제품은 아니라는 것이다.
기존사용제품인 HIPER 4S-435 제품 역시 최고 효율이 78.8% 정도였던 것을 감안하면 전기세 감량은 힘들 듯...



topower_shot  03.jpg
[ 박스 근접 ]


Octopus 라는 것은 이번에 폭스테크에서 TOPOWER 제품을 들여오면서 런칭하는 네임이다. 

근데... 왜 하필...  문어?!


topower_shot  04.jpg
[ 박스 하단 근접 ]


Dare to be Different...

별로 특별해지고 싶진 않은데...


topower_shot  05.jpg
[ 박스 개봉 ]


순간 움찔했다.

간소하다...  간소하다...  간소하다... 
음!!  오이소박이와 같은 깔끔함!!

하얀 매뉴얼 뒤로 제품이 보인다.


topower_shot  06.jpg
[ 박스 개봉 ]


매뉴얼을 던져버리고 제품을 꺼내서 가족 사진...  므휏휏휏...  


topower_shot  07.jpg
[ 모듈 케이블 ]


케이블 뭉치다.  나중에 알게되었지만 이 제품에는 PCI-E 용 8PIN 케이블은 존재하지 않는데 제품 스펙상으로 필요 없다고 판단한 폭스테크에서 제외했다고 한다.(맞죠?)
그런데 사용자매뉴얼에는 떡~ 하니 적혀있어서 계속 찾아봤지만 6PIN 짜리가 8PIN 이 되진 않지...  흐흐흐...

그 리고 가끔 왜 Expander Sleeve 를 하지 않았냐고 따지는 사람들이 보이던데...  그거 효용성이 크던가?   깔끔해 보이기는 하겠지만 열에 대단히 취약한 Expander 의 경우 오히려 ATX 규격에서는 그다지 권장하지 않는다고 한다.   개인적으로는 차라리 열수축튜브가 좋지만 연성이 나쁘지;;;



[ 파워 등장 ]

씨~~~ 꺼먼 녀석이 등장했다.  기존 HIPER 는 외형은 싸구려틱한 녀석이었는데 이 넘은 블랙 슈트를 입고 뻣대고 있다.  감격스러운 녀석...  -_-;;

팬 은 120mm 차후에 다시 적겠지만 정숙성으로 따지면 상당히 조용하다.  케이스 팬으로 사용중인 AddA Sleeve 형 80mm  보다도 조용한 것 같다.  RPM 도 영향이 있긴 하겠지만 저속으로 구동중일때는 소음걱정은 안해도 될 듯 싶다.

topower_shot  09.jpg
[ 팬 근접 ]


심심해서 근접샷 하나 찍어줬다.  다신 이런 일 없을꺼여~  topower~


[ 스펙 쉬트 ]


Max Combined Power 12V 레일에 20A 규격은 통상적이랄까...  뭐랄까...   싸구려파워에서는 보장할 수 없는 수치...
그런데...  좀 묘하다.  원래 표기대로라면 P_r.m.s = V*I*Rail*E.F 인데...  어째서 저런 숫자들이 나왔을까?    아무리 MAX 라지만 말여...


[ 모듈 커넥터 ]

24PIN 케이블의 경우 안달 경우가 없으니 모듈처리가 되지 않았다고 해서 이상할 이유는 없을 것이고 단지 좀 아쉽다면 12V 채널 표기가 되지 있지 않다는 점이다.

참 고적으로 FSP 의 GLN 80 제품들의 경우 채널별 , 용도별로 표기가 되어있고 커넥터가 다르게 처리되어 있다.  물론 같은 12V 출력부 이므로 굳이 구별할 이유가 없기는 하지만 메인스트림군에서 상위의 제품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싶다면 외형적인 면에서도 신경을 써야하지 않을까 싶다.  성능상의 문제와는 관계가 없지만 말이여~


topower_shot  12.jpg
[ 하단부 근접 ]


QC 마크와 HI-POT 테스트 마크가 보인다.  뭐... 전수검사 , 고전압(내압테스트) 마크이고 특정 인증마크와는 관련이 없다.


[ 후면부 ]


파워스위치 , 케이블 커넥터 , 팬스피드스위치와 램프가 보인다. 

잠 시 샛길로 새자면... 육각형의 구조는 대단한 기술인양 요즘 선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간단하다.  단일면적당 타공면적을 최대한 존재시킬 수 있는 구조일 뿐이다.   팬소음의 대부분이 풍량에 의한 풍압소음인 만큼 최대한 공기역류와 지연현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탁 틔인 공간이 필요하니 해주는 것 뿐이다.
하지만 유체역학을 배우신 공학도들께선 잘 아시겠지만 저항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란 일상생활에선 없다.  -_-ㅋ

후면부를 보면서 뜯어보고 싶다는 욕망을 참느라 힘들었다.  EMI 필터와 ActivePFC 형태를 구경하고 싶었는데...  제길!!


[ 후면부 단자 근접 ]


3상 커넥터...  국내에서도 법적으로 가정집에도 접지형 단자를 쓰게끔 만들어줘야할텐데...  요즘은 집 새로 지을 때 어떤지 모르겠지만 현재 우리집은 콘센트 뜯어보면 욕부터 나온다.   -_-ㅋ


topower_shot  15.jpg
[ 후면 작동시 램프 ]


웃!  지저분한 바닥이 눈에 먼저들어오는 것은 자괴감?!

램프가 파랗게 빛난다.  그 휘도란...  아래와 같다.


topower_shot  16.jpg
[ 후레쉬~ ]


뭠미!?  -_-;;  책상 아래에 있지 않았다면 상당히 거슬릴 정도의 밝기!!! 


[ 후면 근접 ]



자세히 보면 PCB 기판 아래에 기기와 전혀 관련이 없어보이는 플래스틱 재질의 판(흰색)이 보이는데...  아마 본체 서지와 쇼트나지 않기 위해 달아놓은 것 같다.  의외의 선방~


topower_shot  18.jpg
[ 후면 근접 ]


필터부와 레일부가 보이는 듯 한데...  레일부에도 착실히 Heat Tube 로 처리를 해놓은 것이 보인다.  왠지 감격~ -_-;;
근데 저거 레일부 맞나...  아.. 뜯어보고 싶어....


topower_shot  19.jpg
[ 장착 ]


밑의 케이블 타이와 먼지는 무시하시고 대충 덩그라니 올라가 있는 모습을 남겨두고 싶어서... 


topower_shot  20.jpg
[ 장착 ]


쨔식~  파워 갈아엎을 때가 언제인지를 모르겠지만 그때까지 잘 버텨주길  -_-;;



========================================

특이사항

  • 고주파음
    이는 환경적인 영향도 있으므로 topower 를 탓할 수는 없는 상황.
    기존 HIPER 파워에서도 발생.
  • 모듈케이블
    내부 결선이 빠듯한 것이 사라진 것에 대한 감격으로 덩실덩실~.
  • 출력 강화
    435W 에서도 크게 문제가 없었지만 파워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차이가 나는 건 태생의 문제.
  • 소음 감소
    기존 HIPER 435 보다 작은 소음.  이는 FSP 500W 제품보다도 소음이 작다는 느낌
  • 전압 출렁임 감소
    풀로드 테스트시(CPU) 순간적인 전압 강하, 스로틀링 발생하지 않음.  - 여지껏 발열문제라 생각했는데... OTL
    DMC4(VGA) 테스트 그래프의 지엽적 스윙 그래프 발생 감소.


공구가격 8.6만  시장가 10.8만 예정

가 격대비 상당히 퀄리티가 높은 제품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국내에서 특정 브랜드에 대한 로열티가 강해 과연 인지도 승부가 될까라는 생각도 없지는 않다.   그리고 가격역시 자꾸 언급하게 되는 FSP 제품의 경우 80PLUS 제품임에도 11만원대에 포진하고 있어 초기가로만 밀어붙이기에도 힘겹지 않을까?

뭐...  듣보잡 500~600W 제품을 국내유통사의 이름만 믿고 6~7만 주고 사는 것보다는 나을 것이지만 이러한 부분을 명확하게 알리려면 topower 제품을 들여오는 foxtech 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

추가사항
이하 내용들은 플웨즈의 Anti빅맥님께서 TOPOWER 와의 컨택을 통해 획득한 자료로 개인용도로 펌을 허락받아 기재하는 자료임.



1. TOPOWER OCTOPUS 제품별 채널 디바이딩



채널별로 연결해주는 것이 전류분배상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특히 VGA 에서 전류소모가 큰 녀석이라면 더욱더 부하를 한쪽으로만 몰아주는 것은 위험하므로 주의가 요망된다.
혹시나해서 적지만서도 CH1, 2 는 CPU/MOBO , PCIE 측등으로 나가는 부분이다.  즉 12V 출력단이 4채널이라고 해서 상용 12V 출력단이 4개가 아니라는 이야기이다.


2. 모델별 사용 팬 브랜드 및 스펙




3. 모델별 사용 캐패시터 브랜드 및 스펙